(주)지능 방문을 환영합니다.
ㆍ리뷰/베스트 사용기
ㆍ자유게시판
ㆍ건의사항
ㆍ사용기
ㆍ갤러리
ㆍ이벤트
ㆍ음악감상
 
작성일 : 09-10-24 21:26
[JAVS신제품 사용기]UDT-1과 DAC-2
 글쓴이 : 백곰
조회 : 5,577  

안녕하세요.

이번에 지능일렉콤에서 새로 출시하는 디지털 트랜스포트 UDT-1 DAC-2를 사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기계치인 저는 기계를 뜯어보고 어떤 칩이 사용되었고 어떤 콘덴서가 사용되었으며, 물량 공세가 어떻다 등 그런 것은 잘 모릅니다. 또한 전문적인 기계용어나 그런 것 또한 잘 모릅니다. 단지 오디오는 그냥 소리 좋고 주관적으로 제 맘에 들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출시된 제품들도 부품이나 기계적 특성에 관해서는 저 지식의 수준을 넘어서는 관계로 설명은 좀 더 이런쪽으로 해박하신 분들께 부탁드리고 오직 주관적인 귀로 듣고 느낀점을 말해보고자 합니다. 순전히 호기심과 귀를 만족할 만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막귀이지만 새 제품들을 사용해보고 이렇게 소개합니다.

 

이 제품은 사진으로도 보시면 알겠지만 아주 작습니다. 한참 유행하였던 루비 같은 제품의 1.5배 정도 크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하이파이 용보다는 피씨파이에서 아주 유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이전에 출시되었던 DAC-1과 같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무게가 좀 가볍습니다. 묵직한 케이블 연결하게 되면 고정이 힘들 듯 합니다. 더군다나 UDT-1과 같이 사용해야 하는데 두개를 쌓아놓고 두툼한 HDMI 케이블을 연결하니 고정이 안되고 휘리릭 돌아버립니다.

알루미늄 외형도 깎아서 만든 듯 마감상태도 약간 거친 편입니다. 고급스런 면은 좀 떨어집니다.

 

전면 사진을 보겠습니다.

 

전면에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빨강, 파란, 녹색불들이 들어옵니다. 어떻게 보면 촌스럽고 어떻게 보면 이쁘장합니다.

UDT-1 전면 좌측부터 전원 스위치, 업샘플링 선택(reclocking ,x2, x4), 입력선택노브, 광입력2, 동축입력2개 단자가 보입니다.

 

후면 사진을 보겠습니다.

 

후면은 좌측부터 광출력, 동출력, HDMI출력(I2S), USB, 전원입력 요렇게 생겼습니다.

 

설계 면에서 몇가지 아쉬운 점은 입력선택노브를 누르면 뮤트 기능이 있습니다.

과연 이게 필요할지 의문입니다. 사실 누르기도 쉽지 않습니다. 제품이 가볍다 보니, 누르려면 제품을 한손으로 잡고 눌러야 하는데 제품을 들었다 놔야 하는 형태가 되어 좀 귀찮습니다. 뮤트 기능은 DAC-2에도 셀렉터 형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입력단자가 앞쪽에 있다 보니 케이블이 앞으로 돌아나오게 됩니다. 컴퓨터 뒤쪽에서 뽑은 케이블이 앞으로 나와서 연결이 되어야 하므로 케이블 정리에 대한 강박관념이 있는 분들한테는 영 보기 좋지 않은 모양새가 될 수도 있습니다. 뒷면이 좁아서 이렇게 설계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특별한 규격이 없는 I2S HDMI로 선택한 것은 잘한 것 같습니다. HDMI는 그래도 괜찮은 케이블들이 꽤 많이 나와있고 성능도 어느정도 인정받고 있으며 길이연장에도 좋은 신호전달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AC-2를 살펴보겠습니다.

 

전면 사진을 보겠습니다.

 

전면 좌측부터 전원스위치, 뮤트셀렉터, 192업샘플링, 디지털, 아날로그선택 셀렉터, 입력신호선택셀렉터(I2S, , 동축), 볼륨노브, 헤드폰 단자 2

 

후면 사진을 보겠습니다.

 

후면 좌측부터 RCA출력, 3.5스테레오 입력, I2S입력, 동축입력, 광입력, +광출력, 전원입력단자, 가변 또는 고정출력 선택 스위치 이렇게 입니다.

주목할만한 것은 USB입력 단자가 없습니다. 노트북에는 광출력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경우 HDMI출력마저 없다면 DAC-2를 이용할 수가 없겠지요. 대신 아날로그 3.5스테레오 단자가 있기는 합니다. 아마도 음질에 관하여 말도 많은 USB단을 없애버리고 UDT-1을 사용하여 연결하던가 아니면 아예 광이나 동축으로 연결을 하라는 뜻 같습니다.

 

보셔서 알겠지만 연결할 수 있는 조합이 무지 많습니다.^^;

이걸 전부 이용할 분도 계실테고, 그냥 한두가지 방법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실 분도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기능이 많아 보이지만 사실 몇 번 조작해보면 그리 많지도 않습니다.

 

아무래도 제품 특성상 피씨파이용으로 좋을 것 같아 집에서 사용하는 제 피씨에 연결하여 들어보았습니다. 저의 피씨파이 구성은 앰프 보스 1706-2, 스피커는 보스101it, 사운드카드는 육불, 케이블 연결은 오플 동선제품 입니다.

여러가지 조합이 가능하지만

1.     컴퓨터_광케이블_UDT-1_I2S(HDMI)_DAC-2_앰프_스피커

2.     컴퓨터_USB케이블_UDT-1_I2S(HDMI)_DAC-2_앰프_스피커

3.     컴퓨터_광케이블_DAC-2_앰프_스피커

4.     컴퓨터_RCA_앰프_스피커

5.     시디피_앰프_스피커

 

요렇게 비교해 보았습니다.

 

청취음악은 평상시 바꿈질 하면 자주 들어보는 몇 개의 음반을 들어보았습니다.

물론 무손실 FLAC음원과 시디입니다.

웅산 3

레베카 피존 베스트

노라존스 1

보스턴 1

다이어스트레이츠 1

지나로드윅 앨범들

야신타 앨범들

이은미 리메이크 앨범

존콜트레인, 마일즈데이비스 앨범 몇가지

치에아야도 베스트

에바캐시디 송버드

베스트 오디오파일 베스트 앨범들

이외 기타 등등

 

리스트 보시면 알겠지만 주로 듣는 음악이 여성보컬, 재즈, 올드락 음악들입니다.

 

10여개월 동안 여러가지 DAC 및 사카 등 몇가지를 사용했었습니다.

처음 DAC-2를 받아보고 나서 음이 깨지는 소리가 나서 지능일렉콤에 문의를 했었습니다. 출력 선택 스위치를 고정에 놓고 사용을 하면 이런 현상이 생기고, ‘가변에 놓고 사용하면 음 깨짐 현상이 줄어들었습니다. 제조사에서는 약간 부품에 수정을 해야 한다는 것 같았습니다. 아마 판매용 제품들이 풀릴때면 이런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출력을 가변에 놓고 사용할 때 유난히 USB단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출력이 너무 작습니다. 음질도 좋지 않고요. 앰프 볼륨을 3시 방향까지 올려도 소리가 크지 않습니다. 물론 왜 그런지 저는 잘 모르지요. 이 부분도 손을 봐야 할 듯 합니다. USB연결시 고정에 놓고 사용하면 광출력시 들리던 음깨짐 현상이 없어졌습니다. 광출력과 USB출력의 차이가 확실히 다르게 들린 다는 것이 또한 재미있습니다. USB출력 연결시 소리가 약간 둥글어지며 따뜻하다고나 할까요, 약간 아날로그적으로 변합니다. 나쁘게 말하면 음이 답답해지고 해상도가 약간 떨어진다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1번의 조합으로 처음 연결하여 들었을 때 첫 느낌은 저음이었습니다. 사실 풀레인지 스피커라 평소 저음에 대한 기대가 별로 없이 편하게 듣던 피씨파이 조합이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저음이 상당히 살아나는 것이었습니다. 101it야 크기를 넘어서는 유명한 스피커이지만 잠재되어 있던 능력을 끄집어 낸 듯 하였습니다. 그동안 이 스피커가 성능을 완전히 표현하지는 못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주 듣던 음악들이었는데 새롭게 들리던 이유는 바로 저음이었습니다. 저음은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풍부해지며 방을 가득 채울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약간 퍼지는 듯한 느낌도 있고 단단한 저음 좋아하시는 분들한테 약간 거슬릴 수도 있겠네요.

첫 느낌은 그렇다고 치고 본격적으로 귀를 쫑긋 세우고 비교에 들어갔습니다.

사실 이런식으로 비교하면서 뭐가 좋고 뭐가 나쁘고 고민을 하면서 음악 감상 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새로 나온 제품에 대하여 분석을 요하므로 집중을 하고 음악을 들어보았습니다. 일단 현재 제 방 피씨파이 조합인 4번과 1번을 비교하였을 때 고음도 좋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웅산의 허스키하며 거친듯한 목소리가 앞으로 약간 돌출된 듯이 들리면서 부각되었습니다. 큰 차이를 느끼기는 힘들었지만 192업샘플링 효과도 약간 있는 듯 합니다. 약간 부스트 된 듯한, 고음이 약간 밝아지고 마치 더 올라가는 듯 합니다. 그리고 노라존스의 음악을 들을 때 높은 고음에서 음이 갈라지는 곳이 한두군데 있더군요. 전체적인 음색은 고음 중음 저음의 발란스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DAC-1에서 보여주었던 중용의 성격을 그대로 물려 받은 기기입니다.

한때 유행하였던 작은 DAC들에 보여주었던 한쪽으로 치우친 듯한 음색은 아닙니다.

튀지 않으면서 발란스를 중요시 여기는 기기입니다. DAC-2는 업샘플링을 하지 않고 UDT-1 x2, x4 정배수 업샘플링을 올려 보았을 때 X2에서는 저음이 좀 더 다듬어 지고 고음도 깨끗해 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DAC-2만 연결하였을 때 보다 UDT-1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확실히 소리가 좀 더 정갈해 지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고음 저음 중음 모두에서 나타나며 체감상 느낄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특히 중음이 도드라지게 들리며 강조 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것 저것 사카들과 DAC을 사용해보고 가격대비 만족스러운 육불을 사용중인데, DAC-2를 사용해보니 아~육불 사카가 약간 거친 소리를 내주었구나 하고 알 수 있었습니다. 육불이 힘은 있지만 좀 거칠더군요. 재즈에서는 정말 좋은 소리 들려주었는데요. 육불에 비해 음이 가지런하고 다듬어진 듯 합니다.

똑같은 음악을 시디피로 재생(피씨파이용으로 2000R 사용중)을 해보면 아무래도 시디피의 승리입니다. 일단 DAC-2보다 밀어주는 힘이 더 붙고 음악에 탄력이 있습니다. 특히 재즈 들어보면 존 콜트레인 음악이 정말 다이나믹하게 들립니다. 시디피 재생에 비해 음이 가늘고 질감이 약간 부족한 것 같습니다.

 

음질 외적인 문제로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 몇가지가 갑자기 생각나네요.

외부충격에 민감합니다. 케이블 연결이 불안정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좀 건들면 마치 예전 시디플레이어에 충격주면 잠깐 멈추는 현상처럼 음이 단절됩니다.

그리고 전원 변화에도 민감한 것 같습니다. 다른 벽전원에 연결되어 있던 시디피를 작동시키려고 전원 스위치를 켜니 노이즈가 순간적으로 섞이네요. 저희집 벽전원이 불안정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요.

 

이번에 출시된 두 기기에 대하여 기계적인 계측이 가능한 성능은 제가 언급하지 않았지만 참으로 잘 만들어진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격대가 신품 약 35만원 정도(각각)로 알고 있습니다. 한때 잘나가던 DA-100 중고가 40만원, DA-100s 60만원 후반대에서 70만원 정도, 캐럿 시리즈가 10-20만원 정도인 걸 생각해 보면 신품 70만원 정도의 두가지 제품을 구입할 구매자 층이 약간 어정쩡합니다.

사실 DAC-2만 구입하여 사용해도 만족도는 꽤 클거라는 생각이듭니다. 유명하신 모 블로거께서 이전 모델인 DAC-1 DA-100정도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셨는데, 사실 DAC-2 DA-100보다 더 음질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사실 예전에 DA-100 처음 들이고 좀 실망했던 터라…)

제 개인적인 느낌을 적은거라 많은 분들이 들어보시고 뭐라 하시면 어떨지 조금 두렵네요^^;

하지만 국산 중소기업 제품이라는 편견을 없애고 사용해보면 꽤 괜찮은 제품이며 한번쯤 들어볼 만한 물건이 나온 것 같습니다.

다소 산만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만 사용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9-10-26 11:18
 
안녕하세요 백곰님.
사용기 감사드립니다.
udt-1 을 dac-2 밑에 놓으시면 움직임이 덜 할텐테.....

차후 양산시 변경 될 사항 입니다.

1. 현제 +12V,-12V 의 사용전압을 +13V,-13V 로 승합(JAVS 차후생산 모든제품 적용)
==> 일부 고음 음원이 -12V를 넘는 경우가 있어 음이 짤리거나 깨지는것을 방지 하기위함

2.  커플링 콘덴서를 값 변경(JAVS 차후생산 모든제품 적용)
==> 역류 DC 전원으로 인한 스피커,헤드폰 의 손상을 막기위해적용한 콘덴서의 값이
      너무 타이트한 관계로 음의 헤드폰단의 20~80HZ 에서 손실이 있고 아나로그단에서는
      20~80HZ 에서 저음이 부스트되는 것이 확인되어 이를 교정.

3. I2S 의 노이즈 해결
==> I2S 단의 일부 노이즈 발생 이 있어 노이즈제거 회로 추가예정

4. 출력게인 줄임(JAVS 차후생산 모든제품 적용)
==> 현제 DAC-2의 출력게인은 초창기 DAC-1 수준의 5VRMS 인데 HI-FI용 앰프와는 달리
      PC-FI 용 앰프중 일부 제품들이 입력을 2~3.5VRMS 밖에 못 받아드리는 경우가 발생되
      서 음질의 손실을 감수하고 3~3.5VRMS 로 낮출 예정임.단 헤드폰단은 현 수준 유지함.

5.  LED 휘도 변경(JAVS 차후생산 모든제품 적용)
==> LED휘도가 너무 밝다는 의견들이 많아 현제의 40% 수준으로 낮춤.

이상 입니다.
그외의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말씀해주시면 가능한한 적용 하겠습니다.
자구리 09-10-27 21:22
 
백곰님// 한꺼번에 술술읽게 잘 쓰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DAC-1을 사용중인데, 가벼운것이 좋을 때도 있고, 싫을 때도 있더군요.
이동을 많이 해야할 때는 작고 가벼운 것이 장땡이고, 가만히 둘때는 말씀하신 현상이 있어서
위에다 큼지막한 스피커용 스파이크를 올려두었습니다 ^^

JAVS님// 구입자들의 세세한 음성에 귀기울여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일취월장하시길 소망합니다.
09-10-28 09:38
 
자구리님의 성원에 힘이나네요..감사드립니다.
저희가 필드테스트를 하는 목적이 사용자의 직접적인 불편함과 저희가 미처 모르던 문제점을 출시전에
파악하여 양산시 수정하고 적용하여  좀더 좋은제품을 만들는데 있습니다.
이렇게 필드테스트분들의 고견이 저희 javs 의 제품의 품질향상 과 차기재품기획에 많은 도움이 되기에
귀한시간을 내어 고견을 주신데 정말 감사드립니다.

성원에 힘입어 한국오디오가 세계의 소리가 되도록 노력하는 javs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9-10-30 11:05
 
안녕하세요 지로쿠리님.
가격적인 면에서 죄송스럽습니다.
하지만 저희제조 공장에서의 출하가는 이보다 훨신 아래입니다.
유통과정이 제조공장-->총판-->대리점-->인터넷 쇼핑물  이라고 봤을때
각각의 10~15%% 마진이라고 보시면 대략 공장 출고가를 짐작 하실수 있을것 입니다.
또한 UDT-1 과 비슷한 외산,또는국산의  DDT 의 판매가를 비교해 보시면 결코 비싼가격은 아닐것 입니다.
DAC-2 역시 DAC-1 에서 추가되는 부품값만을 산정한 가격입니다.
감사합니다.